컬러필터 페이지
색맹, 색약에게는 색은 어떻게 보일까?
색맹이나 색약이 보는 세상은 어떤 세상일까?
가장 가까운 사람 중의 하나가 색약이다.
가끔 내가 보는 색과 그 사람이 보는 색이 다른걸 실감할때의 기분은 좀 미묘하기도 하다...
그런 사람의 눈으로 본 컬러는???
이렇답니다..
https://www.toptal.com/designers/colorfilter
이 사이트에서 색맹들이 보는 화면이 어떤지 알아 볼 수 있다.
쉽다.
확인해보고 싶은 사이트 주소 입력하고 색맹의 종류 선택하고 클릭하면 끝.
클릭 안하고 그냥 선택하면 바로 나오긴 한다.
색맹의 종류는 순서대로 적색맹, 녹색맹, 청색맹, 완전색맹이다.
네이버 지식백과에서 찾아 본 각 색맹의 설명들이다.
protanopla
- 적색맹(Protanopia)은 제일색맹으로도 불리며, 적색 분광계의 선택적인 결함으로 인하여 적색 식별능의 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.
deuteranopia
- 녹색맹(綠色盲), 제이색맹(第二色盲). 이색형(二色型)의 색각결여. 정상의 4원색 중 두 가지 색[靑과 黃]의 감각기구만을 가지고 있는 것이 특징이며, 발광의 상실, 스펙트럼의 이동이나 단축(短縮)이 없이, 적(赤)과 녹(綠) 및 그 파생색(派生色)에 관한 감각기구가 없는 것.
- Tritanopia
청색맹(Tritanopia)은 제삼색맹으로도 불리며, 청색 분광계의 선택적인 결함으로 인하여 청색과 노란색 식별능의 결함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.
- Greyscale/achromatopsia
완전색맹(Achromatopsia)은 성염색체 열성 유전양상을 보이는 망막 장애로, 시력 감퇴, 진자양안진(시계추 눈떨림, pendular nystagmus), 광선 공포증(빛에 대한 과민, photophobia), 작은 중심 암점(small central scotoma), 중심외주시(eccentric fixation)을 동반한 색 식별력의 저하 혹은 완전한 상실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.
국가문화유산포털 사이트 메인 화면을 샘플로 비교해보았다.
http://www.heritage.go.kr/heri/idx/index.do
내가 일반적으로 보는것과는 다른 화면이 나온다.
이건 색'맹'의 기준이고, 색'약'은 또 어떨까? 궁금하다.
그건 또 알아봐야겠다.
'사람에 대한 100가지 사실(모든 기획자와 디자이너가 알아야 할)' 이라는 책을 읽다가
해당 사이트가 소개되어 있어서 확인해보았다.
이 책에 소개되어 있는 사이트들을 한 번 전부 다 들어가봐야겠다.
그리고 이 포스팅은 그냥 기록을 위한 포스팅이다.
나중에 이 사이트가 필요하면 내가 찾아보려고...
'일상용 참고웹사이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웹트래픽 및 브라우저 점유율 분석 사이트, 스탯카운터(statcounter) (0) | 2021.11.17 |
---|---|
Front End 기초 공부를 위한 W3Schools (0) | 2021.05.03 |
그래픽정보 : 정보는 아름답다 (0) | 2018.11.06 |
서울시 평생 학습 포털 (1) | 2018.11.02 |
댓글